안녕하세요~
"뒹뚱펭찌"입니다~

저번 포스팅에 국민취업지원제도와
국민내일배움카드를 활용해서 배울 수 있는
3가지 교육 유형을 알려드렸어요.
국가기간전략훈련, 국민내일배움카드(구직자),
내일배움카드제(재직자), K-디지털 트레이닝
잘 모르시거나, 다시 보고 싶으신 분은
[여기]를 클릭해주세요~
오늘은 과정평가형, 일반고특화훈련,
스마트혼합훈련까지 3가지 유형을
소개하려 해요.
3가지 유형은 국가기간전략훈련 혹은
국민내일배움카드(구직자)와 함께해요.
국기기간전략훈련과 함께하면
훈련비가 100% 전액 무료에요.
국민내일배움카드(구직자)와 함께하면
카드 유형별로 본인 자부담이 발생해요.

일반고특화과정
일반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이지만,
취업을 원하는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운영되는 훈련과정이에요.
학교에 가지 않고 훈련기관에서 교육받고,
학교 출석을 인정받는 거죠.
달마다 하루 학교에 출석하러 가야 하고,
길지 않지만, 여름 방학도 있어요.
결국 학교 다니듯 훈련기관 다니면서
교육받고 자격증 취득 후
진학을 할 것인지, 취업할 것인지
결정한다고 보면 돼요.
일반고특화과정은 시간이 고정이라서
무조건 1,224시간으로 설정되어 있어요.
소개하려는 과정평가형,
스마트혼합훈련과는 다르게
훈련비를 무조건 100% 전액 지원받아요!
과정평가형
과정 이수 후 내·외부 평가에 합격하면
국가기술자격을 취득할 수 있는
훈련과정이에요.
산업현장 일 중심으로
직업훈련·훈련과 자격즹 유기적 연계 강화로
현장 맞춤형 우수 기술인재 배출을 위해
과정평가형 자격제도를 도입했어요.

자격증 종목에 따라서
국가기간전략훈련이랑 함께할지,
(훈련비 100% 전액 지원)
국민내일배움카드(구직자)랑 함께할지,
(카드 유형별 본인 부담금 발생)
나눠지니까, 교육과정 참여 시 꼭 확인하세요!
국가기술자격 시험은 정시와 상시시험 기간에
접수하고 시험장으로 가서 시험을 보는데,
과정평가형은 별도의 시험 일정이 있어요.
내가 취득하려는 자격증이
모든 외부평가 일정에 맞춰서 볼 수는 없어요.
시험을 응시할 수 있는지 여부는
'시행종목 상세보기'를 눌러서
확인해요 해요.
과정평가형의 장점
첫째, 내부평가와 외부평가
내부평가
훈련기관에서 보는 평가
외부평가
산업인력공단에서 보는 평가
내부평가와 외부평가 결과를
1:1로 반영하여 평균 80점 이상
합격하면 자격증을 발부해요.
외부평가를 다소 망쳐도
내부평가를 잘 봤다면 상쇄되는 게 있어요.

둘째, 평가장소는 훈련기관
자격증 직종에 따라 다르겠지만,
시험장 갈 때 챙겨야 하는
시험 도구나 재료가 있을텐데
훈련기관에서 모든 평가가 이루어져서
별도로 챙기지 않아도 돼요.
셋째, 응시 자격조건 무시
산업기사 자격증의 경우
응시할 수 있는 조건이 필요해요.
하지만, 과정평가형은 그 조건을 무시해요.
관련 학과를 나오지 않고, 경력이 없어도
과정평가형 산업기사 과정에 참여해서
내·외부평가 80점 이상 된다면
산업기사 자격증을 받을 수 있어요.
넷째, 체계적인 학습과 피드백
NCS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과정이라
체계적인 학습이 보장되어 있어요.
물론 훈련기관을 잘 봐야겠죠?
체계적으로 구성했다고 하지만
다르게 운영하는 기관도 있을 수 있으니...
내부평가 후 개별 피드백을 해줘서
자신의 성취도를 향상하기에 좋아요.
과정평가형 단점
첫째, 교육 기간의 장기화
짧은 기간에 취득할 수 있는 것을
교육 기간 때문에, 취득이 늦어져요.
하지만, 더욱 체계적인 학습을 해서
개인적으로는 장점으로 보고 있어요.
급하신 분은 전액 자기 부담을 하더라도
빠르게 취득하는 게 좋아요!
둘째, 필기시험의 유무와 난도
검정형 시험 중에서
필기가 없는 자격증도 있는데,
과정평가형에 참여하면
필기를 무조건 봐야 해요.
그리고 검정형 필기시험의 난도보다
과정평가형 필기시험 난도가 더 높아요.
셋째, 실기시험의 난도 차이
검정형 자격증이면 쉽게 취득할 것을
과정평가형으로 응시해서 합격률이
낮은 종목이 있어요.
하지만 그만큼 많이 배우고 자격증 시험에
응시하니까 좋다고 볼 수도 있어요.
(개인적으로는 별로..)
넷째, 자격증 인정도
검정형으로 취득하든,
과정평가형으로 취득하든
똑같이 인정을 해주고 있어요.
하지만, 과정평가형이 시간도 오래걸리고,
체계적으로 학습을 하는 만큼
개인 소견은 과정평가형으로 취득하면
더 인정해주는 게 맞는다고 생각해요.
검정형(정기, 상시시험에 보는 것)과
과정평가형 제도의 차이점 요약
글을 쓰다보니 또 길어져서
스마트혼합훈련 유형은
소개하지 못했네요..
다음 포스팅에서 소개하는 시간을
가지도록 할게요~
방문해주셔서 감사하고,
자신에게 알맞는 교육 유형에
참여하길 바랄게요~

'트렌드 & 핫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혼합훈련, 현대적 학습 방식의 이점과 한계 (17) | 2024.03.01 |
---|---|
국민내일배움카드, 미래를 위한 다양한 교육 유형 소개 (18) | 2024.02.24 |
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 2유형 신청방법과 취업성공수당 완벽 정리 (0) | 2024.02.22 |
국민내일배움카드 : 자격, 사용처, 신청방법 소개와 함께 무료 교육에 참여하세요! (2) | 2024.02.20 |